지도 - 경주시 (Gyeongju)

경주시 (Gyeongju)
경주시(慶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다. 시청 소재지는 동천동이고, 행정구역은 4읍 8면 11동이다.

기원전 57년 신라의 건국부터 935년 신라 멸망까지 992년 동안 신라의 수도였고, 서라벌(徐羅伐), 금성(金城) 등으로 불렸다. 935년(고려 태조 18년) 현재의 지명인 '경주'로 바뀌었다. 이후 동경(東京), 계림부(鷄林府) 등으로 바뀌었다가 조선 시대에 다시 경주로 바뀌었으며 영남 남인의 구심점 역할을 했다.

석탑 등 많은 신라시대 문화재와 경주 양동마을 등 조선시대 양반마을이 보존되어 있다. 불국사, 석굴암, 남산, 월성, 대릉원, 황룡사, 산성 등 5곳의 경주역사유적지구와 경주 양동마을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유네스코의 권고에 따라 문화재 보호 차원에서 시 외곽으로 동해선 및 중앙선 철도를 이설하고 있다.

* 상고시대 진한 12국 중 사로국이었다.

* 기원전 57년 6월 8일(음력 4월 28일) 신라 건국 후 56왕 992년간 왕조를 이어옴. 서라벌 또는 계림이라 불렸다.

* 기원전 37년 박혁거세 거서간은 이 곳에 성을 쌓게 하고 금성(金城)이라 하였으며, 나라 이름을 서라벌이라고 하였다. 기원전 32년에는 이곳에 궁실이 지어졌다.

* 삼국시대에는 신라의 수도였으며 금성(金城)/서라벌(徐羅伐) 또는 계림이라고 불렸다.

* 삼국시대 이 지역에 다수의 지진이 발생한 기록이 있다.

* 935년 고려 태조 18년 경주로 칭했다. 이후 987년에는 동경(東京)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1012년 다시 경주로 되었다가, 1308년 계림부로 개칭하였다.

* 조선 때는 경주부로 불렸으며, 1895년 고종의 대대적인 행정 개편으로 경주군으로 개칭되었다. 
지도 - 경주시 (Gyeongju)
지도
구글 어스 - 지도 - 경주시
구글 어스
노키아 - 지도 - 경주시
노키아
오픈스트리트맵 - 지도 - 경주시
오픈스트리트맵
지도 - 경주시 - Esri.WorldImagery
Esri.WorldImagery
지도 - 경주시 - Esri.WorldStreetMap
Esri.WorldStreetMap
지도 - 경주시 - OpenStreetMap.Mapnik
OpenStreetMap.Mapnik
지도 - 경주시 - OpenStreetMap.HOT
OpenStreetMap.HOT
지도 - 경주시 - OpenTopoMap
OpenTopoMap
지도 - 경주시 - CartoDB.Positron
CartoDB.Positron
지도 - 경주시 - CartoDB.Voyager
CartoDB.Voyager
지도 - 경주시 - OpenMapSurfer.Roads
OpenMapSurfer.Roads
지도 - 경주시 - Esri.WorldTopoMap
Esri.WorldTopoMap
지도 - 경주시 - Stamen.TonerLite
Stamen.TonerLite
나라 -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大韓民國,, ROK), 약칭 한국(韓國, ), 남한(南韓), 남조선(南朝鮮)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위치한 국가이다. 현정체제는 대한민국 제6공화국이다. 대한민국의 국기는 대한민국 국기법에 따라 태극기 이며, 국가는 관습상 애국가, 국화는 관습상 무궁화이다. 공용어는 한국어와 한국 수어이다. 수도는 서울이다. 인구는 2023년을 기준으로 약 5,174만 명으로, 전체 인구 중 절반이(약 2,624만 명) 수도권에 살고 있다.

대한민국은 1948년 5월 10일 총선거를 통해 제헌국회를 구성하였고,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에서 대한민국의 국호를 계승하여 헌법에 명시하였고, 다시 1950년 1월 16일 국무원 고시 제7호 ‘국호 및 일부 지방명과 지도색 사용에 관한 건’에 의해 확정하였다.
통화 / 언어  
ISO 통화 상징 유효숫자
KRW 대한민국 원 (South Korean won) â‚© 0
ISO 언어
EN 영어 (English language)
KO 한국어 (Korean language)
동네 - 나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